Reactive Programming

프로젝트 리액터 기초 1 - 모노

devsh 2022. 1. 12. 23:23
728x90
반응형


프로젝트 리액터

프로젝트 리액터(Project Reactor)는 JVM기반의 환경에서 리액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리액터는 스프링 에코시스템에서 리액티브 스택의 기반이 되는 프로젝트로 리액티브 스트림 사양을 구현하므로 리액티브 스트림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규칙을 동일하게 사용하며 리액티브 스트림 사양에 포함되지 않은 리액터만의 다양한 기능들도 제공합니다.

리액터를 사용하면 손쉽게 애플리케이션에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을 적용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구간에 비동기-논블로킹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리액터에서 제공하는 백프레셔 기법을 사용해 시스템의 부하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모노와 플럭스

리액터는 모노(Mono)플럭스(Flux)라는 두 가지 핵심 타입을 제공합니다. 먼저 모노는 0..1개의 단일 요소 스트림을 통지합니다. 이에 반해 플럭스는 0..N개로 이뤄진 복수개의 요소를 통지하는 발행자입니다. 플럭스와 모노는 리액티브 스트림 사양의 발행자(Publisher)를 구현하여 데이터를 통지하기 때문에 onComplete 또는 onError 시그널이 발생할 때까지 onNext를 사용해 구독자에게 데이터를 통지합니다.

모노와 플럭스는 리액터의 핵심이 되는 요소로써 리액티브 스트림 사양을 구현하는 하는 것 외에도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필터링하는 기능과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를 핸들링 할 수 있는 다양한 연산자(Operator)를 제공하며 두 타입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연산자도 있고 자신만의 연산자도 있습니다. 이번장에서는 모노와 플럭스를 사용할때 자주 사용하는 연산자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노의 연산자

모노는 단일 요소에 대한 통지의 경우 사용됩니다. 모노의 사용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코틀린 그레이들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다면 예제와 같은 구조로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

 

├── build.gradle.kts
├── gradlew
├── settings.gradle.kts
└── src
    ├── main
    │   ├── kotlin
    │   └── resources
    └── test
        ├── kotlin
        └── resources

 

그다음 build.gradle.kts를 열어 예제 1.1과 같이 reactor-core 의존성을 추가합니다.

 

예제 1.1 프로젝트에 reactor-core 의존성 추가 - reactor/reactor-basic/build.gradle.kts

plugins {
    id("org.jetbrains.kotlin.jvm") version ("1.4.10")
}


group = "com.reactor.reactorbasic"
version = "1.0-SNAPSHOT"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org.jetbrains.kotlin:kotlin-stdlib")

    implementation("io.projectreactor:reactor-core:3.4.0")

}

 

 

just

모노를 생성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Mono.just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Mono.just(T data)는 객체를 인자로 받은 뒤 모노로 래핑하는 팩토리 함수입니다.

예제 1.2 Mono.just 사용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1.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val mono: Mono<String> = Mono.just("Hello Reactive World")
    mono.subscribe(::println)
}

--------------------
출력 결과)
--------------------
Hello Reactive World


인자로 “Hello Reactive World”라는 String을 인자로 받았기 때문에 String이 감싸진 Mono<String>을 반환하며 그다음 라인에 작성된 mono.subscribe(::println)는 리액티브 스트림 사양의 Publisher.subscribe 함수를 구현하여 데이터를 구독합니다. 

중요한 점은 플럭스와 모노는 게으르게(lazy) 동작하여 subscribe를 호출하지 않으면 연산자에 작성한 로직이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런 특징은 Java8 스트림 API의 특성과 동일합니다. 스트림 API 역시 연산자를 트리거 하는 최종 연산자를 호출하지 않으면 스트림 연산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justOrEmpty

Mono.justOrEmpty는 값이 null이 거나 null이 될 수 있는 데이터를 받아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제 1.3  Mono.justOrEmpty 사용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2.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val mono: Mono<String> = Mono.justOrEmpty("Hello Reactive World")
    mono.subscribe(::println)
}
--------------------
출력 결과)
--------------------
Hello Reactive World


우선 greeting 변수에 null을 할당하고 Mono.justOrEmpty의 인자로 넣어줍니다. Mono.just의 경우 null인 데이터가 인자로 들어오면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switchOrEmpty/defer

null인 데이터를 제공받을 경우 switchIfEmpty를 사용해 처리할 수 있습니다. switchIfEmpty는 전달받은 값이 null인 경우 새로운 데이터로 변환하는 연산자입니다. 

 

예제 1.4  통지할 데이터가 null인 경우 처리 방법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3.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val greeting: String? = null
    Mono.justOrEmpty(greeting)
        .switchIfEmpty(Mono.defer {
            Mono.just("Hello Reactive World")
        })
        .subscribe(::println)
}
--------------------
출력 결과)
--------------------
Hello Reactive World

greeting이 null로 전달되었으므로 switchIfEmpty에서 제공하는 Mono.just(“Hello Reactive World”)가 연산자의 결과로 전달됩니다. 이때 switchIfEmpty 내부에서 Mono.defer라는 연산자를 사용하면 내부 코드의 호출이 지연되어 실제 사용되는 시점에 호출됩니다.

만약 예제 1.5 같이 Mono.defer를 사용하지 않고 switchIfEmpty를 사용하게 되면 greeting의 값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switchIfEmpty 내부의 코드가 동작하게 되는데 이는 불필요한 동작이므로 Mono.defer를 사용하여 실제 사용되는 시점까지 동작을 미루는 것이 유리합니다.

예제 1.5  Mono.defer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4.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val greeting = "Hello"
    Mono.justOrEmpty(greeting)
        .switchIfEmpty(greetIfEmpty()) // null이 아니지만 호출됨
        .subscribe(::println)
}
 
fun greetIfEmpty() : Mono<String> {
    val greeting = "Hello Reactive World"
    println(greeting)
    return Mono.just(greeting)
}
--------------------
출력 결과)
--------------------
Hello Reactive World
Hello

 

예제 1.6은 Mono.defer를 사용하여 greeting이 null인 경우에만 동작하므로 효율적입니다.

 

예제 1.6  Mono.defer를 사용한 경우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5.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val greeting = "Hello"
    Mono.justOrEmpty(greeting)
        .switchIfEmpty(Mono.defer {
            greetIfEmptyInDefer() // greeting이 null인 경우에만 동작
        })
        .subscribe(::println)
}
 
fun greetIfEmptyInDefer(): Mono<String> {
    val greeting = "Hello Reactive World"
    println(greeting)
    return Mono.just(greeting)
}
--------------------
출력 결과)
--------------------
Hello

 

 

defaultIfEmpty

전달받은 데이터가 null인 경우 예제 1.7의 defaultIfEmpty를 사용하여 기본 값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예제 1.7 defaultIfEmpty를 사용해 기본 값 제공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6.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val greeting: String? = null
    Mono.justOrEmpty(greeting)
        .defaultIfEmpty("Hello Reactive World")
        .subscribe(::println)
}
--------------------
출력 결과)
--------------------
Hello Reactive World

 
defaultIfEmtpy와 switchIfEmpty 연산자는 모두 전달받은 데이터가 null인 경우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공통점입니다. 차이점은 switchIfEmpty는 내부에서 새로운 로직을 구현해 새로운 Mono를 생성할 수 있지만 defaultIfEmpty는 null을 대체하는 값을 지정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fromSupplier

내부에서 로직에 대한 결과로 모노 객체를 생성할 경우 예제 1.8과 같이 Mono.fromSupplie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제 1.7 fromSupplier 예제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7.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Mono.fromSupplier {
        val greeting = "Reactive World"
        var welcome = "Welcome"
        welcome += " ${greeting.split(" ")[1]}"
        welcome += " ${greeting.split(" ")[2]}"
        welcome
    }.subscribe(::println)
}
--------------------
출력 결과)
--------------------
Welcome Reactive World


Mono.fromSupplier의 인자로 제공되는 Supplier는 Java8에 추가된 함수형 인터페이스입니다. Supplier는 별도의 인자는 없이 내부의 값을 반환하는 T get() 함수를 구현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FunctionalInterface
public interface Supplier<T> {
    T get();
}


즉 Mono.fromSupplier{} 내부에 작성하는 코드는 T get() 함수의 구현이 되어 Mono.fromSupplier로 제공되고 내부 로직의 반환되는 구조입니다. 모노를 생성하는데 특정한 구현 로직이 필요한 경우나 늦은 초기화가 필요한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error

Mono.error는 로직을 처리하는 중 특정한 에러를 발생시키고 싶은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제 1.8은 일부러 NullPointerException을 발생시키는 코드를 생성하고 예외가 발생했을때 사용자 정의 예외를 발생시킵니다.

예제 1.8 error를 사용자 사용자 정의 예외 발생 예제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8.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Mono.fromSupplier {
        val greeting: String? = null
        Mono.just(greeting)
    }.onErrorResume {
        Mono.error(GreetingEmptyException("Greeting is Empty"))
    }.subscribe(::println)
}
 
class GreetingEmptyException : Throwable {
    constructor() : super()
    constructor(message: String?) : super(message)
}
--------------------
출력 결과)
--------------------
Welcome Reactive World


가장 먼저 Mono.from Supplier 내부에서 null을 반환하는 greeting을 Mono.just로 생성하였습니다. Mono.just는 null인 객체를 전달받으면 NullPointerException을 발생시킵니다. 에러가 발생한 경우 onErrorResume를 사용하면 예외가 발생할 경우 별도의 핸들링이 가능합니다. 예제 1.8에서는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한 경우 직접 생성한 GreetingEmptyException을 대신 발생시키기 위해 Mono.error를 사용했습니다. Mono.error는 최상위 Exception인 Throwable을 인자로 전달받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 정의 예외 객체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map

예제 1.9에서 소개하는 map 연산자는 전달받은 요소를 새로운 모노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입니다. 

예제 1.9 map 사용 예제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9.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val mono: Mono<String> =
       Mono.just("Hello Reactive World")
           .map {
               it.toLowerCase()
           }
   mono.subscribe(::println)
}
--------------------
출력 결과)
--------------------
Hello Reactive World


map 내부에서는 Mono.just에 담긴 문자열(Hello Reactive World)을 전달받아서 소문자로 변환하는 toLowerCase()를 호출합니다. 이렇게 되면 map 내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모노로 감싼 뒤 데이터를 통지하게 됩니다. map은 한 개의 데이터만 제공할 수 있고 다수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습니다. 

 

flatMap

예제 1.10은 “Hello Reactive World”라는 String을 받아서 flatMap을 통해 각 단어의 처음 단어를 뽑아내 약자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예제 1.10 flatMap 사용 예제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10.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Mono.just("Hello Reactive World")
        .flatMap {
            val words = it.split(" ")
            val acronym = words.map { word -> word[0] }.toCharArray()
            Mono.just(acronym)
        }.subscribe(::println)
}
--------------------
출력 결과)
--------------------
HRW


flatMap은 주로 단일 요소를 복수개의 요소로 변환할 때 사용합니다. 유의할 점은 flatMap은 map과 다르게 마지막에서 반환할 요소를 앞서 소개한 Mono.just와 같은 팩토리 함수로 감싸서 반환해야 합니다.

예제 1.11은 전달 받은 문자열에 “Hello”가 포함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true면 문자열로 새롭게 생성한 모노를 반환하고 거짓이라면 Mono.empty를 반환합니다.

예제 1.11 flatMap 사용 예제2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11.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Mono.just("Reactive World")
        .flatMap {
            if (it.contains("Hello")) {
                Mono.just(it)
            } else {
                Mono.empty()
            }
        }.subscribe(::println)
}
--------------------
출력 결과)
--------------------
없음


flatMap을 활용하면 특정 조건에 따라서 에러를 발생 시키거나 비어 있는 값을 리턴할 수 있습니다.


filter

filter 연산자는 특정 조건이 true인지 판단하여 true인 경우에만 데이터를 통지하는 연산자입니다. 예제 1.12는 전달받은 문자열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정해진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예제 1.12 filter를 사용해 데이터 정제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12.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val mono: Mono<String> =
        Mono.just("Hello Reactive World")
            .filter {
                it.startsWith("Hello")
            }
            .map {
                "this operator is working"
            }
    mono.subscribe(::println)
}
--------------------
출력 결과)
--------------------
this operator is working


예제 1.12의 filter 연산자에서는 전달받은 문자열이 Hello로 시작하는지 판단하여 true이라면 다음 연산자인 map 연산자로 이어지고 정해진 문자열 “this operator is working”을 출력합니다.

filter 연산자는 Predicate라는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전달받습니다. Predicate도 마찬가지로 Java8에 추가되었으며 test라는 함수를 구현해야 합니다. 

@FunctionalInterface
public interface Predicate<T> {
    boolean test(T t);
}

test 함수는 boolean을 반환하여 test 함수를 구현하는 구현체에서는 조건식의 결과를 boolean으로 반환해야 합니다. 

예제 1.13은 filter 연산자 내부의 조건이 거짓인 경우 switchIfEmpty 내부의 로직이 동작하는 것을 확인 하는 예제입니다.

예제 1.13 filter를 사용해 데이터 정제2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13.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val mono: Mono<String> =
        Mono.just("Hello Reactive World")
            .filter {
                it.startsWith("Bye")
            }
            .map {
                "this operator is working"
            }
            .switchIfEmpty(Mono.defer {
                Mono.just("switchIfEmpty is working")
            })
    mono.subscribe(::println)
}
--------------------
출력 결과)
--------------------
switchIfEmpty is working


filter 연산자내에서 전달받은 데이가 Bye로 시작하면 조건은 true지만 전달 받은 문자열이 Hello Reactive World 이므로 이 조건 식은 거짓이 됩니다. 이 경우 바로 이어진 map 연산자가 동작하지 않고 switchIfEmpty 연산자가 동작하여 출력 결과는 switchIfEmpty is working이 됩니다. 이런 형태로 filter의 조건에 따른 분기가 이뤄지는 조합은 매우 빈번하게 사용됩니다.


zip

만약 여러 개의 모노 객체를 하나의 모노로 결합할 경우 zip을 사용해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제 1.14는 zip을 사용해 3개의 모노를 합친 결과를 출력합니다.

예제 1.14 zip을 사용한 결합 예제1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14.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val mono1 = Mono.just("Hello")
    val mono2 = Mono.just("Reactive")
    val mono3 = Mono.just("World")
    Mono.zip(mono1, mono2, mono3)
        .map { tuple: Tuple3<String, String, String> ->
            "${tuple.t1} ${tuple.t2} ${tuple.t3}"
        }.subscribe(::println)
}
--------------------
출력 결과)
--------------------
Hello Reactive World


우선 3개의 모노를 생성한 후 Mono.zip 함수의 인자로 추가합니다.  zip 함수의 처리가 완료되어 새로운 모노를 생성한 뒤 다음 연산자에 통지를 보내는 시점은 인자로 제공된 모노 중 가장 오래 수행된 모노의 시간을 기준으로 결합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런 특징 때문에 각 모노의 로직을 비동기 처리한 뒤 결과에 대한 결합을 위해 zip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zip으로 합쳐진 모노 객체는 튜플(Tuple) 객체의 프로퍼티로 저장됩니다. 튜플에 들어가는 순서는 함수에 인자로 추가한 순서대로 t1, t2, t3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튜플은 리액터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구조체의 종류로 비슷한 예로 코틀린의 페어(Pair)와 트리플(Triple)이 있습니다. 튜플은 현재 8개까지 제공되고 있으며 reactor.util.function 패키지를 보면 Tuple2, Tuple3, Tuple4… 과 같이 미리 정의되어 제공됩니다.

public Tuple2<T1, T2> implements Iterable<Object>, Serializable {
    final T1 t1;
    final T2 t2;
    // ...
}
 
public Tuple3<T1, T2, T3> extends Tuple2<T1, T2> {
    final T3, t3;
    // ...
}


기본적으로 Mono.zip 함수에는 최대 8개의 모노를 인자로 받아서 튜플로 사용할 수 있는 오버로딩 함수가 있지만 그 이상의 모노를 결합할 경우 컴비네이터 함수(Combinator Function)을 사용해 합칠 수 있습니다.

예제 1.15는 리스트로 전달받은 모노를 컴비네이터 함수로 결합하는 예제 입니다.

예제 1.15 zip을 사용한 결합 예제2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15.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val monoList = arrayListOf(
        Mono.just("Seoul"),
        Mono.just("Tokyo"),
        Mono.just("Washington, D.C"),
        Mono.just("Wellington"),
        Mono.just("Canberra"),
        Mono.just("Paris"),
        Mono.just("Prague"),
        Mono.just("Manila"),
        Mono.just("Doha"),
        Mono.just("Singapore")
    )
 
    Mono.zip(monoList) { array: Array<Any> -> // 컴비네이터 함수
        array.joinToString {
            (it as String).toUpperCase()
        }
    }.subscribe(::println)
}
 
--------------------
출력 결과)
--------------------
SEOUL, TOKYO, WASHINGTON, D.C, WELLINGTON, CANBERRA, PARIS, PRAGUE, MANILA, DOHA, SINGAPORE


우선 Mono.zip 함수의 인자에 리스트에 담긴 모노 객체들을 추가합니다. 그런 다음 컴비네이터 함수에서 데이터를 변환하게 되는데 이때 앞서 제공된 모노가 담긴 리스트는 튜플이 아닌 배열에 담겨서 전달됩니다. 그다음 joinToString 함수 내부에서 배열의 개수만큼 반복하면서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하고 콤마(,)를 구분자로 해서 배열을 문자열로 변환한 후 다음 연산자로 제공합니다.

 

zipWith, zipWhen

zipWith 연산자는 기존 모노 객체에 새로운 모노를 결합합니다. 얼핏 보면 zip 함수와 비슷하지만 zip은 여러 개의 모노를 결합할 수 있는 반면에 zipWith는 한 번에 1개의 모노 객체를 기존 모노에 결합합니다.  예제 1.16은 zipWith를 사용해 모노를 결합하는 예제입니다.

예제 1.16 zipWith을 사용한 결합 예제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16.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import reactor.util.function.Tuple2
 
fun main() {
    val mono: Mono<Tuple2<String, String>> =
        Mono.just("Republic of Korea")
            .zipWith(Mono.just("Seoul"))
 
    mono.map {
        val country = it.t1
        val capital = it.t2
        "$capital is capital of $country"
    }.subscribe(::println)
}
 
--------------------
출력 결과)
--------------------
Seoul is capital of Republic of Korea

zipWith는 한 번에 1개의 모노를 결합하는 연산자이기 때문에 2개의 모노를 담는 튜플인 Tuple2<T1,T2>를 생성합니다. 그러므로 예제 1.16의 zipWith 연산자는 Mono<Tuple2<String, String>>과 같은 형태를 반환하게 되고 map 연산자 내부에서 전달받은 튜플을 이용해 문자열을 생성합니다. 이때 튜플의 순서는 전달받은 모노의 순서와 동일합니다.

zipWhen 연산자는 zipWith와 마찬가지로 기존 모노 객체에 새로운 모노를 결합하지만 함수의 인자로 모노를 직접 전달 받는 것이 아니라 함수형 인터페이스인 Function을 전달 받습니다.

@FunctionalInterface
public interface Function<T, R> {
    R apply(T t);
}


예제 1.17은 앞선 1.16 예제에서 zipWith를 사용하는 코드를  zipWhen으로 변경하였습니다.

예제 1.17 zipWith을 사용한 결합 예제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17.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val mono =
       Mono.just("Republic of Korea")
             .zipWhen {
                Mono.just("Seoul")
            }
 
    mono.map {
        val country = it.t1
        val capital = it.t2
        "$capital is capital of $country"
    }.subscribe(::println)
}
 
--------------------
출력 결과)
--------------------
Seoul is capital of Republic of Korea


zipWhen도 zipWith와 마찬가지로 한 번에 1개의 모노를 결합하는 연산자이기 때문에 2개의 모노를 담는 튜플인 Tuple2<T1,T2>를 생성합니다. 하지만 인자를 함수 형태로 전달받았기 때문에 내부에서 특정 로직을 구현할 결과를 모노로 변환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block

리액터의 연산자는 게으르게 동작하여 subscribe가 호출되기 전까지 연산자가 동작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block을 사용하면 그 즉시 구독을 차단(block) 하고 이전 연산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예제 1.18은 block을 사용해 데이터를 출력합니다.

예제 1.18 block을 사용한 데이터 출력 예제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18.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fun main() {
    val mono: Mono<String> =
        Mono.just("Welcome Back")
            .zipWhen {
                Mono.just("Synchronous World")
            }.map {
                "${it.t1} to the ${it.t2}"
            }
 
    val text: String? = mono.block()
    println(text)
}
 
--------------------
출력 결과)
--------------------
Welcome Back to the Synchronous World


subscribe를 호출하지 않았지만 block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구독이 완료되고 Mono<String>가 아닌 String이 반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lock 함수는 논블로킹 스레드 내부에서 사용되면 IllegalStateException이 발생합니다. 예제 1.19는 리액터에서 지원하는 스케줄러를 사용해 단일 논블로킹 스레드를 생성하고 내부에서 block 함수를 호출하여 에러를 발생시키는 예제입니다. 

예제 1.19 논블로킹 스레드 내부에서 block을 사용 예제 - reactor/reactor-basic/src/mono/Mono19.kt

package mono
 
import reactor.core.publisher.Mono
import reactor.core.scheduler.Schedulers
 
fun main() {
    Schedulers.newSingle("NonBlockingSingleThread").schedule {
        val mono: Mono<String> =
            Mono.just("Welcome Back")
                .zipWhen {
                    Mono.just("Synchronous World")
                }.map {
                    "${it.t1} to the ${it.t2}"
                }
        val text: String? = mono.block()
        println(text)
    }
}
 
--------------------
출력 결과)
--------------------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block()/blockFirst()/blockLast() are blocking, which is not supported in thread NonBlockingSingleThread-1

 

예제 1.19와 같이 논블로킹 스레드 내부에서 사용되면 경고와 함께 에러가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block 함수를 사용하는 상황은 리액터의 비동기, 논블로킹 처리의 이점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한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