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JavaScript 의 Built-In 의 간단한 설명

Built-in(빌트인) : 자바스크립트 랜더링엔진에서 이미 포함하고 있는 Object  를 말한다.

- 구분 : 데이터 타입, 오브젝트,연산자

1) 빌트인 연산자 ( ++,--,+,-,*,/,% )

2) 빌트인 데이터 타입 ( Undefined, Nulll, Boolean ,Object ,Number, String )

3) 빌트인 오브젝트 ( Global,Object, Function, Array,String,Boolean,Number,Math,Date,RegExp,JSON,Eval,Error......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try-catch finally 블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      try-catch문
 *      에러가 발생할 수 있을만한 코드를 try 문에 작성하게되면
 *      예외가 발생하면서 catch문에 있는 코드를 수행하고
 *      finally는 에러가 발생하든 안하든 무조건 수행한다!
 * */
var sports,
    result;
 
try {
    console.log('try');
    sports = swim;  // 존재하지 않는 swim 변수를 sports 에 할당 하면 에러가 발생
catch(e) {
    result = 'error';
    console.log('catch');
} finally {
    console.log('finally');
    console.log(result);
}
 
 


2. throw를 통한 명시적 예외 발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      try-catch문
 *      에러가 발생할 수 있을만한 코드를 try 문에 작성하게되면
 *      예외가 발생하면서 catch문에 있는 코드를 수행하고
 *      finally는 에러가 발생하든 안하든 무조건 수행한다!
 * */
var sports,
    result;
 
try {
    if(!sports) {
        throw 'sports에 값이 없습니다.'
    }
    result = sports;
catch(e) {
    console.log(e);
    console.log(result);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JavaScript for~in문의 이해

JavaScript에서의 for~in문은 Object 에 존재하는 모든 property를 변수에 담는다. 
for~in문에서 가져온 Object의 속성은 순서대로 해당 변수에 담는다는 보장이없으므로 
순서가 중요할경우에는 for문을 사용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     for~in 문 은 오브젝트에 포함된 property를 반복하면서 변수에 담는다.
 *     sports 에서 soccer , basketball 로
 *     값을 할당하였지만 for~in 문은 내가 값을 넣은 순서대로
 *     나온다는 보장이 없다.
 *     sort로 사용하려면 배열을 사용한 일반 for문을 사용해야한다.
 * */
 
var sports = {soccer: 11, basketball: 5};
 
for(var pty in sports) {    //  for~in 문은 순서를 가지고 있지 않는다.!!!중요하다
 
    var value = sports[pty];
 
    console.log('name : ' + pty + ' , value : ' + value);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JavaScript 의 핵심 키워드 2가지

JavaScript 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JavaScript가 할 수있는일에 대한 범위,영역를 알아야한다. 


1. 제어 (controll) : HTML,CSS 등을 오브젝트화 시켜서 제어하는것이 목적이다.

- DOM, HTML, CSS

- HTML5 API File ,Messaging 메카니즘

- 그래픽 SVG, Canvas, WebGL

- 통신 XML( HttpRequest Socket )

2. 수단 Object[name:value] : 오브젝트의 네임밸류 속성을통하여 제어함. 

- 자바스크립트의 근간인 Object는 네임,밸류 이다!!! 

- function toDay() {} // toDay 라는 name 에 function 이라는 value 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